2025년 11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11월 3일에 나온 KB부동산과 한국부동산원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KB 부동산 주간 리포트 분석
매매 가격 지수
1. 매매 가격 상승률 / 하락률

- 상승 순위 : 성동구 > 송파구 > 동작구 순
- 하락 순위 : 부산 강서구 > 대전 중구 > 평택 순
2. 지역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 전국 : 0.07% 상승
- 수도권 : 0.13% 상승
- 5개 광역시 : 0.00% 보합

서울, 울산, 경기 순으로 매매가격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대구는 최근 상승을 하는 것 같았는데,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도 하락하였습니다.


서울은 전반적으로 상승률이 감소하였습니다.
서울의 외곽 지역 중심으로 보합세에 가깝게 흐름은 변하였습니다.
성동구, 송파구, 동작구 순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하락한 곳은 없고, 금천구는 보합세입니다.

경기도에서는 성남 분당구, 광명, 과천 순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평택, 파주, 이천 순으로 하락률이 큰 지역입니다.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곳들 위주로 상승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세가격지수
1. 전세 가격 상승률 / 하락률

- 상승 순위 : 서울 중구 > 세종 > 강동구 순
- 하락 순위 : 부산 강서구 > 익산 > 구미 순
2. 지역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 전국 0.07% 상승
- 수도권 0.09% 상승
- 5개 광역시 0.06% 상승

전세지수는 전국이 하락한 곳이 없습니다.
세종, 울산, 서울, 부산 순으로 상승률이 큽니다.


중구, 강동구, 성북구 순으로 전세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종로구만 보합세를 기록하였습니다.

경기도에서는 하남, 용인 처인구, 구리 순으로 상승세가 컸습니다.
평택, 시흥, 부천 소사구는 하락하였습니다.
매수우위지수 – 심리 차트

10월 15일 규제 이후에 서울은 매수우위지수가 지속적으로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상승의 흐름이 오려던 경기는 10월 15일 기점으로 흐름이 끊긴 상태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인천은 전반적인 흐름의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울산이 가장 먼저 상승의 흐름이 와서 50 이상의 매수우위지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부산은 9월 이후로 매수우위지수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가격동향 분석

- 매매가격지수
전국 0.07% 상승 → 0.07% 상승
수도권 0.14% 상승 → 0.13% 상승
서울 0.23% 상승 → 0.19% 상승
지방 0.00% 보합 → 0.01% 상승 - 전세가격지수
전국 0.07% 상승 → 0.08% 상승
수도권 0.10% 상승 → 0.11% 상승
서울 0.14% 상승 → 0.15% 상승
지방 0.03% 상승 → 0.05% 상승

- 수도권 서울 0.19%, 경기 0.11%, 인천 0.05% 상승
- 지방 울산 0.11%로 가장 많은 상승, 전북, 경북, 경남, 부산 등이 상승
- 제주, 대구, 대전 등 하락

- 세종이 0.36% 상승하며 가장 많은 상승
- 서울, 울산, 경기, 부산, 인천 순으로 상승
- 제주, 충북 외에 하락한 곳은 없음
11월 1주차 흐름 정리
10월 15일 발표된 정부의 수요 억제 정책으로 거래량 자체가 감소되며 상승세는 일정 수준 잡히는 모습입니다. 그런 와중에 최근에 서울과 경기도의 상승세가 큰 지역은 기존에도 상승세를 주도했던 주요 입지의 곳들입니다. 거래가 잘 되지는 않지만 호가가 내려오지 않고 상승한 가격으로 간간히 거래가 되는 듯한 모습입니다.
반면, 서울의 외곽이나 경기도의 규제지역이 아닌 곳들은 10월 15일 이전에도 많이 상승을 하지 못했고 지금도 비슷한 흐름을 가져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방 같은 경우, 울산은 공급량의 부족이 그대로 시장 흐름으로 넘어오고 있습니다. 전세, 매매 모두 뜨겁게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도 전세가가 워낙에 많이 내려왔었기 때문에 최근 전세 상승폭도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매매지수도 같이 상승을 하는 모습입니다. 대구는 아직 본격적인 흐름은 넘어오지 않았지만, 반등의 모습을 서서히 보여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미 울산은 많은 상승이 이뤄지고 있고, 부산은 상승을 하기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고, 대구는 이제 막 상승을 하려고 하는 그런 느낌을 주는 지방의 주간 흐름입니다.